본문 바로가기
물어보고

확증편향이 뭐야?

by 에스커 2025. 7. 1.
반응형

반응형

내 생각이 항상 맞는 걸까?

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결정을 내리고, 다양한 정보를 접합니다. 그런데 그중 일부는 객관적인 판단이 아니라 내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심리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바로 이것이 확증편향(confirmation bias)입니다.


🔍 확증편향이란?

확증편향은 사람이 자신의 기존 신념이나 기대를 뒷받침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, 그에 반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 인지적 오류를 의미합니다.
쉽게 말해, ‘내가 옳다’는 생각을 강화하려는 심리죠.

예시:
“우리 강아지는 절대 안 물어”라고 믿는 사람은 강아지가 사람을 무는 뉴스보다, 강아지가 귀엽게 행동하는 영상만 더 눈여겨보게 됩니다.


🧠 왜 우리는 확증편향에 빠질까?

  1. 인지적 안정감
   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건 에너지가 듭니다. 기존 신념을 유지하면 편하죠. 인간은 본능적으로 혼란보다 안정된 사고방식을 선호합니다.
  2. 사회적 소속감
    주변 사람들이 공유하는 믿음과 다른 생각을 가지면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집단의 믿음에 부합하는 정보만 받아들이는 경향도 생깁니다.
  3. 자존감 보호
    ‘내가 틀렸을 수도 있다’는 사실은 자존감을 해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자신의 판단이 맞다는 증거만 찾는 습관이 생기죠.

🧪 실험으로 본 확증편향

심리학자 피터 왓슨은 '2-4-6 실험'을 통해 확증편향의 존재를 밝혔습니다.

참가자에게 ‘2, 4, 6’이라는 숫자 세 개를 보여주고, 이 숫자들의 규칙이 무엇인지 맞혀보라고 했습니다.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떠올린 규칙을 확인하는 예시만 제시했죠.
하지만 이 실험의 진짜 규칙은 오름차순 숫자였고, 다양한 예외를 실험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정확한 규칙을 알아내지 못했습니다.


❗확증편향이 위험한 이유

  • 가짜뉴스에 쉽게 속을 수 있음
    내가 믿고 싶은 정보만 보면 진실을 왜곡하게 됩니다.
  • 의사결정 능력 저하
   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지 못하면, 중요한 판단을 그르칠 수 있습니다.
  • 갈등과 고립
    타인의 의견을 무시하고 고집만 부리게 되어, 대화가 단절될 수 있습니다.

✔ 확증편향 줄이는 법

  1. 반대 입장을 일부러 찾아보기
    내가 동의하지 않는 글이나 영상도 열어보세요. 균형 잡힌 시야를 가질 수 있습니다.
  2. 의도적으로 질문하기
    “내 생각이 틀릴 수도 있지 않을까?”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.
  3. 다양한 정보원 활용하기
    뉴스, 블로그, 책 등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으면 왜곡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📌 마무리: 내 생각을 의심하는 용기

확증편향은 누구나 빠질 수 있는 심리적 함정입니다. 중요한 것은 그것을 자각하고 의식적으로 벗어나려는 노력입니다.
늘 옳을 필요는 없어요. 때로는 의심하고, 질문하고, 다시 생각하는 것이 더 건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.


 

💬 오늘의 질문:
최근에 ‘내 생각이 맞다고만 믿었던 적’이 있나요? 돌아보며 댓글로 함께 나눠봐요!

 

반응형